본문 바로가기

서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문화공간을 만들어 갑니다.

커뮤니티

밍키넷: 해외 성인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최신주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희세희 쪽지보내기 아이디로 검색 댓글 0건 조회 0회 작성일 25-05-05 09:30

본문


1. 개요



밍키넷은 대한민국을 포함한 한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성인 사이트입니다. 주요 컨텐츠로는 성인 동영상, 성인 만화, 웹툰, 스포츠토토, 토렌트 등이 있으며, 커뮤니티 활동은 제한적입니다. 사이트는 HTTPS 주소로 운영되며, 해외 서버를 통해 제공됩니다.



2. 접속



밍키넷은 HTTPS 주소를 사용하여 대한민국 내에서 한때 차단되지 않고 접속이 가능했으나, 2018년 이후 정부의 해외 불법 사이트 차단 정책에 따라 VPN을 사용하지 않으면 접속이 불가능해졌습니다. 이로 인해 PC나 모바일 환경에서 접속을 위해 우회 경로를 사용해야 하며, 해외 서버로 운영되고 있어 국내 규제에 대해 자유롭습니다



3.합법인가 불법인가


해외에서는 명백히 합법인 사이트로, 성인 컨텐츠가 허용되는 국가에서는 법적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 내에서는 HTTPS 차단 이후 사실상 불법으로 간주됩니다. 대한민국은 포르노 자체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밍키넷 역시 준 불법 사이트로 취급됩니다.



키워드: 밍키넷, 성인 사이트, 성인 동영상, 성인 만화, VPN 우회, HTTPS 차단, 불법 사이트, 해외 서버, 대한민국 법, 포르노, 웹툰, 스포츠토토, 밍키넷 커뮤니티, 18



정영선 조경가(오른쪽)와 정욱주 서울대 조경학과 교수.



눈 내리던 겨울날 정욱주 서울대 조경학과 교수와 경기 양평에 있는 정영선 조경가(84) 집을 방문한 적이 있다. 그때 정 교수가 “봄에 같이 황매산 가실래요”라고 묻자 정 조경가가 “그럼 좋지”라고 했다. 정 교수가 7년 전 마스터플랜을 세우고 주요 공간을 설계한 황매산을 정 조경가는 오래전부터 가보고 싶어 했단다. 그렇게 한국 조경계의 거목(巨木)인 정 조경가, 정 교수와 함께 경남 합천 황매산을 다녀오게 됐다.

● 분홍빛 봄의 황매산
지난해는 가히 ‘정영선의 해’였다. 반세기에 걸친 그의 조경 작업을 조명한 다큐멘터 생각없는 사람 리 ‘땅에 쓰는 시’가 개봉해 대중에게 정영선 이름 석 자를 널리 알렸다. 정 조경가 곁에서 우리 땅의 아름다움을 배웠다는 정 교수도 이 영화에 나온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사상 처음 조경가를 다룬 전시 ‘정영선: 이 땅에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를 열었다. 올해 5∼7월에는 이탈리아 베네치아 산마르코 아트센터에서 정 조경가 개인전도 열린다. 지난해 세계적 전세자금대출 상환 아트페어 ‘프리즈(Frieze) 서울’에 왔다가 국립현대미술관 전시를 본 이탈리아 예술 관계자들이 순회전을 요청하면서 성사된 전시다.



황매산은 봄에는 철쭉, 가을에는 억새가 장관을 이룬다. 올해로 29회를 맞는 황매산 철쭉제는 5월 1∼11일 열린다. 합천군 제공
무료신용조회대출


정 조경가의 베네치아 행(行)에 앞서 12일 셋이 황매산(해발 1113m)에 갔다. 정 교수는 “황매산은 철쭉이 유명하지만, 진달래도 좋아요”라고 했다. 서울에서 황매산까지는 왕복 600여 ㎞. 당일치기 소풍으로는 꽤 먼 거리였다. 운전대를 잡은 정 교수에게 정 조경가는 연신 “이 먼 우리캐피탈할부 길을…”, “참말로 대단하다”라고 했다. 정 교수가 2017∼2018년 서울과 합천을 자주 오가며 황매산 군립공원 마스터플랜을 세운 걸 두고 하는 얘기다. 정 교수는 “선생님은 예전에 (합천) 해인사를 이렇게 다니며 (조경) 일을 하셨으면서 뭘요. 저도 오랜만이네요”라며 웃었다.

황매산 군립공원은 잘 닦인 포장도로로 jb우리캐피탈 해발 850m까지 차량이 오를 수 있었다. 1980년대 소를 키우던 목장이었기 때문이다. 첩첩산중을 거쳐 오르니 별천지였다. 손바닥으로 누른 듯한 고산지 평원이 시원하게 펼쳐졌다. 산의 능선은 넓고 깊었다. 황매산이 왜 ‘영남의 금강산’으로 불리는지 단박에 알 수 있었다.



12일 진달래가 핀 황매산 풍경.



공원 입구 주차장 오른쪽이 너른 철쭉 군락지다. 4월 중순은 진달래와 철쭉 사이(間)의 시간이었다. 열두 폭 병풍 같은 산세를 분홍색 진달래 이불이 포근하게 덮고 있었다. 정 조경가는 말했다. “아유, 예쁘다.” 조만간 철쭉이 50ha에 걸쳐 산을 감싸면 진분홍의 절정에 이를 것이다. 합천을 대표하는 황매산 철쭉제는 올해 29회를 맞아 5월 1∼11일 열린다.

● 생태경관과 문화경관의 만남
황매산은 봄에는 철쭉, 가을에는 억새가 고유한 풍경을 빚는다. 1984년 정부의 축산 장려 정책에 따라 조성된 목장 부지는 27년 전 폐쇄됐지만, 소들이 먹지 않아 살아남은 철쭉과 억새가 군락을 이뤘다. 고산지 평원 생태 경관과 목축의 역사가 만든 문화경관이 절묘하게 어우러진다. 드넓은 초지(草地) 경관은 이국적이면서 비현실적으로 느껴질 정도였다.
‘봄과 가을에 치중된 관광 행태를 어떻게 사계절 지속 가능하게 만들 수 있을까’. 2017년 합천군이 황매산 군립공원 기본계획 용역을 발주한 이유다. 정 교수는 황매산을 단순한 꽃구경 장소로 보지 않았다. 자연과 인간의 경계에서 조경이 할 수 있는 일을 생각했다고 한다.
그래서 황매산 입구 주차부지와 철쭉평원을 잇는 공간(1만4300㎡)에 조성한 게 ‘황매정원’이다. 단아하게 정비된 산책로에 들어서자 사람 손길이 닿지 않은 대자연으로 입장하는 기분이었다. 흐르는 물을 따라 산수국을 심어 봄과 가을 사이에 비어 있던 여름 경관을 청량하게 만들고, 오나멘탈 그라스(관상용)를 심어 너른 억새밭과 연결한 게 돋보였다. 그중 제일은 작은 동물과 새 들의 보금자리인 습지 숲을 안전하게 남겨둔 것이라고 생각한다.
정 교수는 말했다. “처음 황매산에 왔을 때 굉장히 근사한 경관이 펼쳐져 놀랐어요. 정작 합천 분들은 그저 빈 땅이라 여기며 뭘 좀 더 추가하기를 원했죠. 저희는 오히려 이질적 시설들을 걷어 내면서 황매산 자체의 훌륭한 경관을 잘 드러내자고 제안했어요. 합천군 측이 수긍했고 지금까지 잘 유지, 관리해 주는 걸 높게 평가하고 싶습니다.”
정 조경가는 공원을 둘러보다가 막 피어난 고사리와 야생화가 보이면 쭈그리고 앉아 아기를 돌보듯 세심하게 살폈다. 자연은 생명력이 강하지만 인간에 의해 쉽게 훼손될 수 있다는 사실이 새삼 떠올랐다. 그는 정 교수에게 “욕보셨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라는 말을 여러 번 했다. 대가(大家)가 후배에게 건네는 최고의 칭찬이라는 걸 느낄 수 있었다. 공원 입구 격인 관광휴게소 이름은 ‘철쭉과 억새 사이’였다. 그곳 식당에서 한우국밥을 한 그릇씩 먹고 분홍색 산을 바라보며 커피를 마셨다. 봄을 누리는 최고의 호사였다.
● 이 땅에 시를 쓴다는 것
황매산은 단지 철쭉이 아름다운 산이 아니었다. ‘땅에 시를 쓴다’는 말의 뜻을 일깨우는 장소였다.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 ‘안시성’, 드라마 ‘미스터 선샤인’ 등을 촬영한 황매산은 2022년 BTS(방탄소년단) RM의 ‘들꽃놀이’ 뮤직비디오 배경으로 등장했다. 예술적 심미안이 뛰어난 RM 측이 합천군에 먼저 제안해 이뤄진 촬영이었다.
황매산의 값진 매력은 또 있다. 은하수 아래 돗자리를 펴고 캠핑하거나 반짝이는 별빛을 청혼 반지 삼아 연인에게 프러포즈할 수 있다. 민간 위탁 형태로 운영되는 황매산 야영장과 오토캠핑장은 지역과 자연이 함께 살아가는 사례다. 2018년 해발 750∼1100m 고지대에 문을 연 황매산수목원에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큰해오라비난초를 만날 수 있다. 다음에는 꼭 1박 2일 일정으로 찾아가 인근 오도산자연휴양림에서 숙박하며 해인사도 가야겠다고 다짐한다.



야생의 자연 같은 황강 유역 미개발 구역.



정 조경가는 황매산 오가는 길에 차창 밖 풍경을 유심히 보았다. 평온한 들판이 펼쳐지면 “아구, 예쁘다”라고 했고, 포크레인이 산을 파헤쳐 놓은 걸 보고는 “(우리 땅을) 가만 놔두면 기품 있을 걸 왜 못살게 구는 것이냐”며 안타까워했다. 합천군을 관통하는 황강 유역 미개발 구역은 야생의 자연처럼 신비로웠다. 정 조경가가 말했다. “이 좋은 광경을 또 언제 볼꼬.” 그리고는 한 편의 시처럼 말했다. “벚꽃이 떨어지는 게 늦게 내리는 눈인 줄 알았어요.”

땅에 시를 쓰는 것은, 풍경을 향한 감수성을 회복하는 일이다. 어떻게 우리 땅의 아름다움을 발견해 귀하게 여길 것인가. 정 조경가의 웃음과 탄식에 답이 있을 것이다.



◇정영선 조경가


국내 1세대 조경가이자 여성 1호 국토개발기술사. 아시안게임 선수촌 아파트 및 기념공원, 여의도 샛강생태공원, 청계천 복원사업, 선유도 공원 등 다양한 국가 공공사업에 참여해 왔다. 2023년 한국인 최초로 조경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제프리 젤리코상’을 수상했다.



글·사진 합천=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추천0 비추천0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